UPDATED. 2024-04-19 17:58 (금)
진도 쌍계사 대웅전 보물 지정 늦어지나
진도 쌍계사 대웅전 보물 지정 늦어지나
  • 藝鄕진도신문
  • 승인 2020.03.01 19: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2018년 보물 지정

2018년 진도 첨찰산 쌍계사 목조삼존불상이 보물로 승격되면서 대웅전 목조건물과 시왕전 지장보살상을 보물로 지정하기 위해 신청을 해 놓은 상태다.

진도군에 따르면 문화재청은 2년 전 이미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전남도지정 유형문화재 제221호)을 보물로 지정했다.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은 경내 대웅전에 모셔진 것으로 불상 3구, 발원문 3점, 후령통 3점으로 구성됐다.

가운데 석가모니불상을 중심으로 좌우 문수보살과 보현보살로 구성된 삼존(三尊) 형식이다.

조각승 희장 스님을 중심으로 9명의 조각승이 참여, 완성한 작품으로 건장한 신체 표현과 통통하게 살이 오른 어린아이 같은 얼굴 등에서 희장 스님 조각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17세기 중엽 전라·경상지역에서 활동한 희장 스님은 부산 범어사 목조삼존불상(보물 1526호)과 순천 송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보물 1660호), 함양 법인사 목조불상(보물 1691호) 등을 제작했다.

불상은 제작에 대한 기록이 없어 몇 해 전까지 정확한 연도를 알 수 없었지만 지난 2015년 대웅전 해체복원 당시 불상을 임시법당에 옮기는 과정에서 복장을 조사하면서 베일을 벗었다.

복장에서는 강희 4년(1665년)에 제작됐다는 조연문이 발견됐고 발원문에는 봉안한 장소, 시주자, 불상을 조성한 장인, 당시 쌍계사에 주석한 스님들을 총 망라해 기록했기 때문에 불상 조성에 대한 모든 과정을 한눈에 알 수 있었다.

또 불경서적, 후령통 등이 다수 발견돼 당시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한편 목조삼존불 주변에서는 해체 작업중 20세기 초반 불화가 유화 형식으로 그려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을 끌기도 했다. 이 그림은 우리나라 최초 서양화가로 알려진 춘고 고희동의 작품일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졌다.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과 복장 유물은 제작시기와 목적 등 연대가 확인되고 조각양식이 뛰어나며,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복장유물이 일괄로 발견됐다는 점에서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높다.

진도군 관계자는 "삼존의 보존 상태와 구성 등이 조성 당시의 모습을 거의 완전하게 갖추고 있고 복장 유물 역시 안치 당시의 모습에서 크게 훼손되지 않아 불상조성과 17세기 복장법식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전남 지방에 남아있는 조선시대 불상연구에 기준이 되는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진도군은 지난 1971년 금골산 오층석탑(보물 529호)이 보물로 지정된 이후 47년만에 진도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이 추가로 지정됐다.

군은 전남도지정 유형문화재인 쌍계사 대웅전(121호)과 쌍계사 시왕전지장보살상(222호)를 학술연구용역을 거쳐 문화재청에 보물 신청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