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18:57 (금)
한국 지역소멸과 진도소멸 대책 (3)
한국 지역소멸과 진도소멸 대책 (3)
  • 藝鄕진도신문
  • 승인 2024.03.20 17: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 지역소멸과 진도소멸 대책 (3)

                                                                                        박주언 (본지 지역소멸 진도연구소)

 

<서울·부산·호남 남부> 3축으로 균형발전을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9월 15일 부산에서 열린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 ‘지방시대 선포식’을 통해 “서울·부산 양축으로 국가균형발전을 달성하겠다”고 투트랙 시대를 천명했다. “영호남 남부가 굳이 서울로 올 필요 없이 부산을 생활권 거점으로 한다”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국가균형발전으로 보자면 서울·부산 투트랙 보다는 ‘서울·부산·호남 남부 3축’이라야 논리에 부합한다.

전라도와 경상도는 언어권, 문화권, 지리적 거리와 역사성, 대립적 정감 등 이질적 요인이 많다.

호남 남부의 중앙정부와의 관계에 있어서 진도를 보자. 고려 삼별초는 진도에 정통 고려정부를 세우고 일본정부에 국서를 보내 양국이 대몽항쟁에 연대할 것을 건의했다. 일본은 ‘책에 몽고라는 나라가 없는데 없는 나라와 싸울 수가 없지 않느냐’ 하여 이 문제는 부결됐다.

일본 측은 강화도에서 보낸 고려 외교문서와 진도 고려정부에서 보낸 국서가 완전히 다른 내용이어서 헷갈리고 있었다. 일본 관리들이 헷갈리는 점을 기록했던 당시 문서가 동경대학교 도서관에 있는 ‘고려첩장불심조조’다.

고려충신 정몽주가 이성계를 병문안 갔다가 이방원에 의해 선죽교에서 살해되던 날, 낌새를 알아차리고 자기를 모셨던 녹사 김경조에게 어서 돌아가라고 호통을 쳤다. 그러나 그는 끝까지 모시겠다면서 정몽주를 안고 철퇴를 막아내다 다리에서 함께 죽었다. 선죽교에는 정몽주의 비석과 ‘진도 김씨 녹사 김경조’의 기실비가 세워졌다. 진도 김씨가 개성에서 터를 잡고 살았다는 증거다.

조선조에서는 전국적으로 가장 많은 유배자들이 한양으로부터 진도에 왔다. 그들은 진도에 서당을 열어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예의범절 등 중앙 상층문화를 진도에 이식시켰다. 그러나 부산과는 관계가 거의 없었다. 호남 남부 사람들이 서울보다 부산을 중심권으로 생활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 서울대학교를 목포로 이전한다 >

목포를 서울 부산과 함께 국토균형발전 3대축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으로는 중국 시장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전시비상사태라 전제하고, 서울대학교를 목포 무안 방면으로 옮기는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다른 대학교나 정부기관도 따라서 옮긴다. 국도 1호선은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목포시에서 판문점을 거쳐 평안북도 신의주시를 잇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로 전체 노선 길이 약 1,068km였다. 언젠가 한반도 통일이 된다면 중국과 러시아를 거쳐 유럽 중원으로 달리는 도로가 된다.

윤석열 대통령의 구상처럼 부산은 해양과 국제금융, 첨단산업, 디지털의 거점으로서 계속 육성하고 목포는 교육과 문화 그리고 대중국 해양거점으로 육성할 수 있겠다.

한국의 전국적 지역소멸은 최종적으로 인구의 급속한 서울집중으로 나타난다. 물론 이 같은 현상은 국가소멸을 뜻하겠다.

  

< 진도소멸 누가 막는가? 진도군민들이다 >

 

한국은 전국 229곳 자치단체 가운데 118개곳이 소멸 위험지역이다. 전남 22개 시군에서 11곳이 소멸 고위험인데 여기에는 진도를 포함 해남 완도가 해당된다. 진도는 구레 곡성과 함께 인구 3만 미달로 전남 소멸 최우선 자치단체라 하겠다.

진도소멸은 누가 막아주는가? 진도군민들이다. 군민 개개인이 진도소멸을 막아야겠다는 강한 의지를 갖는다면 진도는 살아난다. 항일독립운동에 앞장섰던 훌륭한 선현들을 생각하면서 군민들이 하나로 뜻을 모은다면 진도는 반드시 소멸하지 않는다. 진도소멸요인과 싸우는 선전포고가 요구된다. 군민결의가 필요하다.

해남, 완도, 진도 소멸지수(통계청 2023년 3월 기준)

* 노인이 35% 넘으면 <노인 고장>이 되어 빠르게 소멸됨 – 진도 36%

(7% 이상= 고령화 사회, 14% 이상 고령사회, 20% 이상 초고령 사회)

표에서 보이듯 진도는 해남 인구의 절반도 안 되고 완도보다도 1만명 넘게 부족하다. 1차적으로 진도가 없어진다면 어디로 합병될 것인가? 해남인가? 완도인가? 목포인가? 아니면 제주도인가? 이 문제는 진도사람들이 결정할 수가 없지만.

 

< 향토지식재산을 총정리 활용해야 >

대통령 직속 20여 개 국가위원회 가운데 ‘국가지식재산위원회’가 있다. 이 위원회는 지난해 9월 14일 울산에서 제3회 향토지식포럼을 열었다. 4월 6일에는 서울 용산구 동자아트홀에서 '향토지식재산에 기반한 새로운 지역혁신 전략과 과제'를 주제로 제1회 향토지식재산과 지역혁신 포럼을 열었다. 6월 8일 제2회 포럼은 전주대 지역혁신관에서 전통산업 쇠퇴와 지역소멸 등에 대응해 향토자원을 지식재산화하는 전략을 논의했다.

향토 지식재산은 그 지역만이 가진 차별성·독창성 문화와 어우러져 지역 산업을 이끌어 나갈 매우 중요한 자산이다. 향토지식재산에 있어서 진도는 다른 지역과 차별화되는 많은 자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역사와 문화적 자원이 그러하다.

‘진도 향토지식재산’ 총정리와 활용방안에 매진해야 한다. 진도의 향토지식을 재산으로 탈바꿈시킬 전문성이 요구된다.

진도문화원은 지난해 9월 24일 ‘왜덕산(倭德山)을 내세워 임란이후 처음으로 일본의 대표성 있는 정치인들을 불러 한 자리에서 개별적으로 사죄문을 낭독케 했다. 하토야마 유키오 전 총리를 비롯하여 아마키 나오토 전 외교관, 시마 칸니치 현 시의원이 진도 고군면 내동리에서 합장으로 고개를 숙였다.

그런데 이 행사 주관처 내지는 주관자에 대하여, 정년 귀향한 진도출신 모 대학 교수는 ’친일파 소행‘이라며 재를 뿌렸다. 그야말로 토착왜구의 언행이라 할 만하다. 이런 잘못된 두뇌들이 큰소리치고 활보한다면 진도소멸은 막을 길이 요원하다. 왜덕산은 진도가 전 세계에 내놓을 자랑스런 향토지식재산이다.

<계속>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